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티스토리챌린지
- 디지털트윈
- 너비탐색
- readonly
- BFS
- unity sparkmain(clone)
- 유니티 sparkmain(clone)
- 최단거리 알고리즘
- dfs
- 최소신장트리 mst
- dropdown
- 유니티
- 행동트리
- 크루스칼
- 깊이탐색
- removeAll
- 트리구조
- unity korea
- 오블완
- Simulation
- sparkmain(clone)
- GetComponent
- list clear
- Unity
- navisworks api
- 드롭다운
- sparkmain(clone) 무한생성
- raycast
- C#
- articulation body
- Today
- Total
목록분류 전체보기 (103)
낑깡의 게임 프로그래밍 도전기

게임의 오브젝트를 움직일때는 transform을 건드려서 사용. 보통 x, y, z 축을 사용하여 Vactor3로 선언. (x, y만사용하면 Vactor2) Destroy(gameObjext); //게임오브젝트 파괴 유니티 오브젝트 움직이기 Alt 마우스 좌클릭움직임 - 축기준 회전 Shift 마우스 우클릭움직임 - 뷰기준 회전 Alt + Ctrl 마우스 클릭움직임 - 이동 마우스 휠 - 확대 축소 오브젝트 이름 더블 클릭 - 해당 오브젝트 전체 맞춤 보기 W 위치 E 회전 R 크기 transform.position = Vector3.zero; Vector3를 0, 0, 0으로 위치 초기화 transform.Rotate(Vector3.back, 1); Vector3에 대해 0, 0, -1 뒤의 1은 좌표..

유니티 시작 start : 첫 시작시 실행 Update: 매 프레임 마다 실행 컴포넌트: 어떤 속성과 기능이 있는 것들을 유용하게 묶어 기능화 시킨 것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는 가장 작은 단위(현실"모듈" = 게임"컴포넌트") C#스트립트 타입은 클래스이자 컴포넌트다 c# 스크립트는 기본적으로 MonoBehaviour를 상속받고 있음 소스를 타고 가면 확인가능(단축키: F12) MonoBehaviour : Behaviour : Component MonoBehaviour 기본 트랜스폼 게임오브젝트라고 하면 기본적으로 위치 크기 회전을 가짐 적합하지 않은 컴포넌트는 넣지마라 Start - 첫 실행 시 한번만 호출. 보통 초기화가 필요한 상태에서 사용함.(C#에서의 main과 같이 쓰기로 함) (*Start로도..
1. 접근 제한자(Access Modifiers)C#에서 클래스, 필드, 메서드 등의 접근성을 제어하는 키워드입니다.접근 제한자접근 가능 범위public어디서든 접근 가능private(기본값)선언된 클래스 내부에서만 접근 가능protected자식 클래스(상속된 클래스)에서만 접근 가능internal같은 어셈블리(프로젝트) 내에서만 접근가능protected internal같은 어셈블리 + 자식 클래스에서 접근 가능private protected같은 어셈블리 내에서 자식 클래스에서만 접근 가능1.1 private (기본값)클래스 내부에서만 접근 가능하며,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습니다.class MyClass{ private int secretNumber = 42; // 클래스 내부에서만 접근 가능}1.2..